2025년, 장기요양의 모범생들이 공개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부적정 청구 ‘제로’의 성적표를 받은 전국 420개 장기요양기관을 ‘청구그린(Green)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들은 단순히 잘한 게 아니라, 다른 기관들이 본받아야 할 '청구문화 표준'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전국 장기요양기관 가운데 상위 1%에 해당한다. 재가급여기관 256곳(방문요양·목욕·간호), 시설급여기관 164곳(주·야간보호, 단기보호 포함)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2024년 한 해 동안 급여비용 환수 사례가 없거나, 관련 법령을 철저히 준수한 기관들이다.
공단은 이들에게 단순히 칭찬만 한 건 아니다. “이제는 함께 기준을 만들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셈이다.
선정된 기관은 앞으로 1년간 ‘청구그린 간담회’에 참여해 부적정 청구 예방책을 함께 논의하고, 제도개선 의견도 제시할 기회를 갖는다. 단순한 표창이 아닌 장기요양 제도의 파트너로서의 역할이 주어진 것이다.
청구그린 기관에겐 눈에 띄는 혜택도 있다. ▲ 공단이 수여하는 공식 증서, ▲ 노인장기요양보험 누리집에서 별도 필터로 검색 가능, ▲ 민원 대응용 기관현황 자료에 ‘그린 마크’ 표기, ▲ 매달 ‘청구 참고자료’와 ‘운영 동향’까지 받아볼 수 있다. 단순히 상장이 아니라, 신뢰와 실리를 모두 잡을 수 있는 타이틀이다.
공단 관계자는 “많은 기관들이 청구그린에 선정되기 위해 자율 점검과 교육에 힘쓰고 있다”며 “정직하게 청구하고도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제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420개 기관의 명단은 ‘노인장기요양보험 누리집’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다. 이제 중요한 건, 이들만의 이야기가 되지 않게 하는 일이다. ‘청구그린’이 특별한 예외가 아닌, 장기요양의 기본값이 되는 날을 위해.